빅토리아 피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빅토리아 피크는 홍콩 섬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도시의 파노라마 경관과 온대 기후로 인해 19세기부터 유럽 거주자들을 끌어들였다. 1888년 피크 트램 개통 이후 접근성이 향상되어 주택 수요가 증가했으며, 1904년부터 1930년까지는 비중국인 전용 주거 지역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현재는 주요 관광 명소로, 연간 700만 명 이상이 방문하며, 피크 타워와 피크 갤러리아 등의 관광 시설이 있다. 또한, 다양한 아파트와 주택, 그리고 주요 고위 관료들의 거주지 및 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산 - 타이모산
타이모산은 홍콩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쥐라기 시대부터 존재한 비활성 화산으로, 기상 레이더 기지가 정상에 있으며 독특한 기후와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 몬순 기후의 영향, 잦은 안개와 영하의 겨울 기온이 특징이다. - 홍콩의 산 - 마온산
마온산은 홍콩에 있는 말 안장 모양의 산으로, 화산암 및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특이한 지형과 다양한 식생을 가지며, 과거 철광석 채굴지였으나 현재는 특별 과학적 관심 장소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홍콩의 관광지 - 옹핑 360
옹핑 360은 홍콩 란타우섬의 퉁충과 옹핑을 잇는 5.7km 곤돌라 리프트 시스템으로, 보련선사와 천단대불까지 연결하며 독특한 경관을 제공하지만, 초기에는 사고와 시스템 오류로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MTR 공사에서 스탠다드 캐빈과 크리스탈 캐빈을 운영한다. - 홍콩의 관광지 - 구룡채성
구룡채성은 홍콩에 존재했던 무허가 건축물 밀집 지역으로, 군사 요새에서 무법지대로 변모하여 범죄와 빈곤이 만연했으나 자치 공동체를 이루기도 했으며, 철거 후 공원으로 조성되어 과거를 기억하는 공간으로 남아있다. - 중사이구 - 중환지반산자동부제
홍콩 섬의 퀸스 로드 센트럴과 컨듀잇 로드를 잇는 세계 최장 야외 에스컬레이터 시스템인 중환지반산자동부제는 총 길이 800m, 수직 상승 135m의 18개 에스컬레이터와 3개의 무빙워크로 구성되어 미드 레벨 지역의 상업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영화 촬영지로도 활용되고 기전공정서의 관리 하에 특정 시간대에 따라 운행 방향이 전환된다. - 중사이구 - 홍콩 대학
홍콩 대학교는 1887년 설립되어 1912년 개교한 홍콩 최초의 고등 교육 기관으로, 다양한 학부와 부속 기관을 운영하며 학생 지원, 연구 활동, 해외 교류 등을 제공한다.
빅토리아 피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이름 | 빅토리아 피크 |
원어 이름 | 太平山 (태평산) |
다른 이름 | 扯旗山 (철기산) |
영어 이름 | Victoria Peak |
별칭 | 더 피크 (The Peak) |
높이 | 552 미터 |
![]() | |
지리 | |
위치 | 홍콩 섬중서구 |
산맥 | 해당 없음 |
기타 정보 | |
특징 | 언덕 |
2. 역사
19세기 중반 영국이 홍콩을 식민지로 만든 후, 서양인들은 빅토리아 피크 산정에 저택을 짓고 살기 시작했다. 이는 산정에서의 경치가 훌륭하고, 홍콩 시가지(빅토리아 시)의 아열대 무더위에 비해 산정이 다소 시원했기 때문이다. 1868년경 홍콩의 제6대 총독 리처드 그레이브스 맥도넬 경이 여름 별장 "마운틴 롯지"를 지었다.[32] 당시 산정과 항구를 왕복하는 영국인들은 중국인 인부가 메는 가마(세단 체어, sedan chair)를 타고 험한 산길을 오르내렸기 때문에, 산정에 사는 사람은 극히 제한적이었다. 1874년에는 산정에 오르기 쉬운 길이 열렸고, 1870년대부터 1880년대에 걸쳐 40채 정도의 저택이 지어졌다. 그러나 본격적인 개발은 1888년 '''피크 트램'''이라는 케이블카가 부설되고 나서였다.[32][33]
피크 트램 개통 후 빅토리아 피크의 주택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1904년부터 1930년까지는 "산정구 보류 조례"(Peak Reservation Ordinance)가 시행되어, 유럽인과 각국 정부 관계자 이외에는 거주가 허용되지 않았다. 이는 1894년 페스트 세계적 감염에 따라 빅토리아 시의 중국인 사이에서 만연하는 유행병으로부터 몸을 보호한다는 명목이 있었지만, 중국인에 대한 인종적·사회적 격리의 측면도 있었다. 이 시기에는 중국인은 총독의 특별 허가 없이는 산정에 들어갈 수 없었다. 트램도 아침 출근 시간은 1등 승객(총독 외 산정 주민) 전용이었고, 2등 승객(영국군 및 홍콩 경찰), 3등 승객(기타)은 탈 수 없었다. 중국인이 빅토리아 피크에 살 수 있게 된 것은 1947년이었다.
과거 수십 년 동안 영사관, 정부 건물 등 역사적 가치를 지닌 빅토리아 피크의 대저택들은 철거되어 관리 단지 내의 더 작은 주택으로 재개발되었다.
최근 부동산 거래를 보면, 1996년 11월 사업가 웡 욱 콴은 "제네시스"라는 주택을 5.4억홍콩 달러에 구매했다. 2004년, 사스 이후 배우 저우싱츠는 "스카이하이"를 구입하고 토지를 4채의 주택으로 재건축했다.[6] 2006년, 선 헝 카이 부동산은 켈렛 산 12번지 부지를 18억홍콩 달러에 매입했다.[10] 2022년, HNA 그룹 회장 천펑 (사업가)의 채권단은 'Twelve Peaks' 단지의 주택을 3.9억홍콩 달러에 매각했다.[11] 2010년, 헨더슨 랜드 개발 회장 리 샤우키는 바커 로드 35번지 부지를 18.2억홍콩 달러에 매입했다. 2015년, 알리바바 그룹 창립자 마윈은 바커 로드의 주택을 15억홍콩 달러에 매입했다.[18] 2020년, 개발업체 더 워프 (홀딩스)는 빅토리아 피크의 맨스필드 로드의 부지를 120억홍콩 달러에 매입했다.[19] 2024년 7월, 플랜테이션 로드 46번지의 소유주는 부지와 함께 네 채의 주택을 110억홍콩 달러에 매각했다.[20]
2. 1. 영국 식민지 시대 (19세기 중반 ~ 1997년)
19세기 초부터 빅토리아 피크는 도시의 파노라마 경관과 홍콩의 다른 지역의 아열대 기후와 비교되는 온대 기후로 인해 저명한 유럽 거주자들을 끌어들였다. 제6대 홍콩 총독인 경 리처드 맥도넬은 1868년경에 피크에 여름 별장을 지었다.[2] 초기 거주자들은 빅토리아 피크의 가파른 경사를 오르내리는 가마를 이용하여 집에 도착했다. 이것은 1888년 피크 트램 푸니쿨라가 개통될 때까지 피크의 개발을 제한했다.[2][3]피크 트램 개통으로 인한 접근성 증가는 피크의 주택에 대한 수요를 창출했다. 1904년부터 1930년까지, 피크 예약 조례는 피크를 비중국인을 위한 전용 주거 지역으로 지정했다. 또한 피크 트램을 성수기 동안 그러한 승객의 사용을 위해 예약했다. 피크는 오늘날 부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고급 주거 지역으로 남아 있다.
1905년, 피크 서쪽에 피너우드 포대 건설이 완료되었다. 할레흐 로드는 이 포병대와 나중에는 대공 포병대에 대한 재보급 수단으로 피크 주변에 건설되었다.
1904년과 1947년 사이에 홍콩이 식민지였을 때, 중국인은 피크 지역 예약 조례에 따라 피크에 살 수 없었다. 1920년대에 호 퉁은 당시 혼혈로 여겨졌기 때문에 피크에 살았던 최초의 중국인이었다.[4] 호 퉁 가든은 피크 로드 75번지에 위치해 있었으며, 2015년 51억홍콩 달러 (평방피트당 82258HKD)에 매각될 때까지 수십 년 동안 호 퉁의 소유였다.
역사적으로 정부, 은행, 기업이 소유하고 임원과 회장이 거주하는 주택 외에도 피크에는 중소형 아파트를 더 젊은 직원들의 주택으로 사용하는 여러 블록의 부동산도 있었다. 이들은 빅토리아 항 대신 사우스사이드를 향하는 길포드 로드 및 마운트 켈렛 로드와 같은 덜 유명한 거리에 위치해 있다.[5]
1996년 11월, 사업가 웡 욱 콴은 1980년대에 샹 치카우가 지은 "제네시스"라는 세번 로드 23번지 주택을 5.4억홍콩 달러에 구매했다. 웡이 구매한 또 다른 주택은 "스카이하이"로 알려진 폴록스 패스 10-18번지였다. HSBC가 소유하고 은행 회장이 거주했던 스카이하이는 1990년대 초에 야오한의 사장인 와다 가즈오에게 8500만홍콩 달러에 판매되었다. 야오한이 파산했기 때문에 와다 가즈오는 사업가 웡 욱 콴에게 3.7억홍콩 달러에 판매했다. 2004년, 사스 이후 배우 저우싱츠는 스카이하이를 구입하고 료덴 개발을 합작 파트너로 데려와 토지를 4채의 주택으로 재건축했다.[6] 제네시스는 2001년에 채권자에 의해 웡 콴이 지불한 금액의 50% 미만인 2.4억홍콩 달러에 판매되었다.[7][8]
피크의 이러한 부동산 거래는 경제 위기 동안 현금에 쪼들린 사업가들의 필사적인 판매였다.[9]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일본 점령기 (1941년 ~ 1945년)
죄송합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제2차 세계 대전과 일본 점령기 (1941년 ~ 1945년)"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2. 3. 전후 ~ 현재
19세기 중반 영국이 홍콩을 식민지로 만든 후, 서양인들은 빅토리아 피크 산정에 저택을 짓고 살기 시작했다. 이는 산정에서의 경치가 훌륭하고, 홍콩 시가지(빅토리아 시)의 아열대 무더위에 비해 산정이 다소 시원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신호소나 요양소가 세워졌고, 1868년경 홍콩의 제6대 총독 리처드 그레이브스 맥도넬 경이 여름 별장 "마운틴 롯지"를 지었다.[32] 당시 산정과 항구를 왕복하는 영국인들은 중국인 인부가 메는 세단 체어(sedan chair, 轎子)라고 불리는 가마를 타고 험한 산길을 오르내렸기 때문에, 산정에 사는 사람은 극히 제한적이었다. 1874년에는 산정에 오르기 쉬운 길이 열려 사는 사람이 약간 늘었고, 1870년대부터 1880년대에 걸쳐 40채 정도의 저택이 지어졌다. 그러나 본격적인 개발은 1888년 '''피크 트램'''이라는 케이블카가 부설되고 나서였다.[32][33]피크 트램 개통 후 빅토리아 피크의 주택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1904년부터 1930년까지는 "산정구 보류 조례"(Peak Reservation Ordinance)가 시행되어, 유럽인과 각국 정부 관계자 이외에는 거주가 허용되지 않았다. 이는 1894년 페스트 세계적 감염에 따라 빅토리아 시의 중국인 사이에서 만연하는 유행병으로부터 몸을 보호한다는 명목이 있었지만, 중국인에 대한 인종적·사회적 격리의 측면도 있었다. 이 시기에는 중국인은 총독의 특별 허가 없이는 산정에 들어갈 수 없었다. 트램도 아침 출근 시간은 1등 승객(총독 외 산정 주민) 전용이었고, 2등 승객(영국군 및 홍콩 경찰), 3등 승객(기타)은 탈 수 없었다. 중국인이 빅토리아 피크에 살 수 있게 된 것은 1947년이었다.
전후 홍콩에서도 빅토리아 피크 부근은 초고급 주택가가 되었지만, 기후나 건강상의 이유가 아니라 빅토리아 피크의 높은 사회적 지위를 추구하며 살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정부, 은행, 기업 소유 주택 외에도, 빅토리아 피크에는 젊은 직원들의 주택으로 사용되는 중소형 아파트 블록도 있었다. 이들은 빅토리아 항 대신 사우스사이드를 향하는 길포드 로드 및 마운트 켈렛 로드와 같은 덜 유명한 거리에 위치했다.[5]
1996년 11월, 사업가 웡 욱 콴은 "제네시스"라는 주택을 5.4억홍콩 달러에 구매했다. 웡이 구매한 또 다른 주택인 "스카이하이"는 HSBC가 소유하고 은행 회장이 거주했던 곳으로, 1990년대 초에 야오한 사장 와다 가즈오에게 8500만홍콩 달러에 판매되었다. 야오한 파산 후 와다 가즈오는 웡에게 3.7억홍콩 달러에 판매했다. 2004년, 사스 이후 배우 저우싱츠는 스카이하이를 구입하고 토지를 4채의 주택으로 재건축했다.[6] 제네시스는 2001년에 채권자에 의해 웡 콴이 지불한 금액의 50% 미만인 2.4억홍콩 달러에 판매되었다.[7][8]
2006년, 선 헝 카이 부동산은 켈렛 산 12번지 부지를 정부 경매를 통해 18억홍콩 달러에 매입했다. 해당 부지에는 중급 공무원 주택용 아파트 단지가 있었다.[10] 2022년, HNA 그룹 회장 천펑 (사업가)의 채권단은 'Twelve Peaks' 단지의 주택을 3.9억홍콩 달러에 매각했다. 천펑은 2016년에 5.06억홍콩 달러을 지불했다.[11]
국제 뉴스에서 보도된 기록적인 거래에도 불구하고, 빅토리아 피크는 홍콩에서 가장 비싼 주거 지역이 아니다. 딥 워터 베이와 자딘스 룩아웃 역시 가장 비싼 주거 지역 중 하나이다. 리 카싱의 집 근처인 딥 워터 베이 로드 75번지 주택은 33억홍콩 달러에 매각되었고,[12] C C 랜드 회장 장충큐는 자딘스 룩아웃의 퍼브스 로드 1번지를 7.6억홍콩 달러에 매입했다.[13]
빅토리아 피크에는 다양한 아파트 건물과 주택이 있으며, 관광지로서 병원, 학교, 쇼핑몰도 있다. 많은 부동산은 임대 목적으로 소유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외국인이 거주한다.[15] 마운트 오스틴은 남 펑 그룹이 소유한 단지로, 아파트 크기는 696 평방 피트에서 시작한다.[16] 플랜테이션 로드에는 임대용으로 특별히 지어진 여러 블록, 소규모 유닛의 임시 직원 주택, 직원 편의 시설을 갖춘 부동산이 있다.[17]
바커 로드는 안개가 낀 계절에는 항구 전망이 영향을 받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어 가장 선호되는 거리 중 하나이다. 2010년, 헨더슨 랜드 개발 회장 리 샤우키는 바커 로드 35번지 부지를 18.2억홍콩 달러에 매입하여 가족의 거주지로 세 채의 주택으로 재건축했다. 2015년, 알리바바 그룹 창립자 마윈은 바커 로드의 주택을 15억홍콩 달러에 매입했다.[18]
2020년, 개발업체 더 워프 (홀딩스)는 빅토리아 피크의 맨스필드 로드의 부지를 정부 경매를 통해 120억홍콩 달러에 매입했다. 이 부지는 과거 공무원 숙소로 사용되었던 홍콩 정부가 소유한 마지막 부지 중 하나이다.[19]
2024년 7월, 플랜테이션 로드 46번지의 소유주는 부지와 함께 네 채의 주택을 110억홍콩 달러에 매각했다.[20]
3. 지리 및 생태
피크는 많은 조류 종의 서식지이며, 특히 검은솔개가 두드러진다. 또한 수많은 나비 종도 서식한다.[21] 멧돼지와 호저도 피크에서 발견되며, 다양한 종류의 뱀도 서식한다.[22]
현지 명칭 | 광둥어 발음(예일 핀인) | 의미 |
---|---|---|
타이핑산딩 | taai3 ping4 saan1 deng2 | 평화로운 산 |
산딩 | saan1 deng2 | 영어의 "더 피크"의 직역 |
처치산 | ce2 kei4 saan1 | 깃발을 흔드는 산 |
루펑 | lou4 fung1 | 봉화를 올리는 봉우리 |
빅토리아산 | wai4 do1 lei6 aa3 saan1 | 영어의 "마운트 빅토리아"에서 |
커스틴산 | o1 si6 din1 saan1 | 영어의 "마운트 오스틴"에서 |
4. 기후
빅토리아 피크의 기후는 2004년부터 2020년까지 관측된 자료를 기준으로 하며, 해발 406m 지점의 기상 정보를 제공한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25.0 | 28.0 | 26.9 | 29.0 | 32.6 | 32.7 | 32.3 | 32.9 | 32.1 | 30.6 | 28.7 | 25.5 | 32.9 |
평균 최고 기온 (°C) | 16.6 | 17.8 | 19.9 | 22.7 | 26.0 | 27.7 | 28.5 | 28.5 | 28.0 | 25.5 | 22.1 | 18.1 | - |
평균 기온 (°C) | 13.6 | 14.7 | 16.9 | 20.1 | 23.4 | 25.3 | 25.9 | 25.8 | 25.0 | 22.5 | 19.3 | 15.0 | - |
평균 최저 기온 (°C) | 11.4 | 12.5 | 14.8 | 18.1 | 21.5 | 23.7 | 24.0 | 23.8 | 23.2 | 20.7 | 17.4 | 13.0 | - |
최저 기온 기록 (°C) | -1.0 | 4.1 | 4.9 | 9.4 | 13.4 | 17.9 | 19.8 | 20.8 | 18.1 | 12.4 | 6.3 | 3.5 | -1.0 |
강수량 (mm) | 34.3 | 35.4 | 71.8 | 130.1 | 317.1 | 442.5 | 359.1 | 382.3 | 273.5 | 103.7 | 44.8 | 30.8 | - |
평균 강수일수 (≥ 0.5 mm) | 6.1 | 9.0 | 9.8 | 11.0 | 14.0 | 18.4 | 17.3 | 15.7 | 13.6 | 7.1 | 6.0 | 5.1 | 133.1 |
데이터 출처는 홍콩 천문대이다.[36][37]
5. 관광
매년 약 700만 명의 방문객이 방문하는 빅토리아 피크는 홍콩의 주요 관광 명소이다.[23] 피크에서는 도시와 해안가를 조망할 수 있으며, 전망대에는 방문객들이 도시 경관을 즐길 수 있도록 동전 작동식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5. 1. 주요 관광 시설
웍을 닮은 반원형 건물인 피크 타워 안에는 식당, 상점, 밀랍 인형을 100점 이상 보유한 마담 투소, 홍콩에서 가장 높은 360도 전망을 자랑하는 스카이 테라스 428이 있다. 피크 타워 맞은편에는 쇼핑몰 피크 갤러리아가 있으며, 건물 3층에는 남쪽과 북쪽을 모두 볼 수 있는 무료 전망대가 있다. 모노폴리를 주제로 한 4D 전시관도 있다.[35]피크 타워에는 센트럴의 성 요한 성공회 대성당에서 승객을 수송하는 케이블카인 피크 트램의 상부 역이 있으며, 피크 갤러리아에는 홍콩 버스와 미니버스가 사용하는 버스 정류장이 있다.[24]
빅토리아 피크 가든은 총독의 옛 여름 별장인 마운틴 로지 부지에 있으며, 정상에 가장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공공 장소이다. 빅토리아 갭에서 150m 정도의 마운트 오스틴 로드를 따라 걸어서 갈 수 있다. 또 다른 인기 있는 산책로는 루가드 로드와 할레치 로드를 따라 걷는 평탄한 순환로로, 피크 타워 높이에서 홍콩 항구 전체와 구룡, 그리고 란타우 섬과 라마 섬의 멋진 전망을 제공한다.[25]
빅토리아 피크에는 여러 개의 레스토랑이 있는데, 대부분은 두 개의 쇼핑 센터에 있다. 피크 룩아웃 레스토랑은 피크 트램웨이에서 일하는 엔지니어들을 위한 넓은 주택이었던 오래되고 전통적인 건물에 자리 잡고 있다. 1901년에 가마 정류장으로 개조되었지만 1947년에 레스토랑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5. 2. 산책로
프레드릭 루가드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루가드 로드는 좁은 낭떠러지 길목 구간을 플랭크 로드(Plank Road)라고 부른다. 약 20분 정도 걸으면 셩완에서부터 침사추이, 빅토리아 항구까지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경관을 볼 수 있다. 할레치 로드를 따라 계속 가면 피크 타워 옆에 있는 중국식 정자인 라이언스 파빌리온(Lions Pavilion)이 나타난다.[25]루가드 로드와 할레치 로드는 피크 타워 높이에서 빅토리아 항구 전체와 구룡, 란타우섬, 라마섬의 멋진 전망을 제공하는 인기 있는 산책로이다.[34]
5. 3. 교통
피크 트램은 홍콩 센트럴 지구의 성 요한 성공회 대성당에서 승객을 수송하는 푸니쿨라(케이블카)로, 피크 타워에 상부 역이 있다. 피크 갤러리아에는 홍콩의 버스 서비스에서 운영하는 시내버스와 미니버스의 버스 정류장이 있다. 택시나 자가용으로는 구불구불한 피크 로드를 통해 빅토리아 피크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홍콩 동물원 및 식물원 근처에서 가파른 올드 피크 로드를 따라 걷거나, 홍콩 공원에서 센트럴 그린 트레일을 따라 걸어서 접근할 수도 있다. 가장 가까운 MTR 역은 센트럴역 (MTR)이다.[24]다음은 빅토리아 피크로 가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교통 수단 | 노선 | 출발지 |
---|---|---|
피크 트램 | 산정역 (The Peak, 山頂站) | 센트럴 성 요한 성공회 대성당 |
버스 | 신세계제일버스 15번 노선 | 센트럴 페리 터미널 |
15B번 노선 | 코즈웨이 베이 MTR 톈허우 역 | |
미니버스 | 전선 소파 1번 노선 | 센트럴 역・홍콩 역 |
6. 주요 거주지
19세기 초부터 빅토리아 피크는 도시의 파노라마 경관과 아열대 기후인 홍콩의 다른 지역과 비교되는 온대 기후로 인해 저명한 유럽 거주자들을 끌어들였다. 제6대 홍콩 총독인 경 리처드 맥도넬은 1868년경에 피크에 여름 별장을 지었다.[2] 초기 거주자들은 가마를 이용하여 빅토리아 피크의 가파른 경사를 오르내렸다. 이것은 1888년 피크 트램 푸니쿨라가 개통될 때까지 피크의 개발을 제한했다.[2][3]
피크 트램 개통으로 인한 접근성 증가는 피크의 주택에 대한 수요를 창출했다. 1904년부터 1930년까지, 피크 예약 조례는 피크를 비중국인을 위한 전용 주거 지역으로 지정했다. 또한 피크 트램을 성수기 동안 그러한 승객의 사용을 위해 예약했다. 피크는 오늘날 부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고급 주거 지역으로 남아 있다.
1904년과 1947년 사이에 홍콩이 식민지였을 때, 중국인은 피크 지역 예약 조례에 따라 피크에 살 수 없었다. 1920년대에 호 퉁은 당시 혼혈로 여겨졌기 때문에 피크에 살았던 최초의 중국인이었다.[4]
역사적으로 정부, 은행, 기업이 소유하고 임원과 회장이 거주하는 주택 외에도 피크에는 중소형 아파트를 더 젊은 직원들의 주택으로 사용하는 여러 블록의 부동산도 있었다. 이들은 빅토리아 항 대신 사우스사이드를 향하는 길포드 로드 및 마운트 켈렛 로드와 같은 덜 유명한 거리에 위치해 있다.[5]
1996년 11월, 사업가 웡 욱 콴은 "제네시스"라는 주택을 5.4억홍콩 달러에 구매했다. 웡이 구매한 또 다른 주택은 "스카이하이"였다. HSBC가 소유하고 은행 회장이 거주했던 스카이하이는 1990년대 초에 야오한의 사장인 와다 가즈오에게 8500만홍콩 달러에 판매되었다. 야오한이 파산했기 때문에 와다 가즈오는 사업가 웡 욱 콴에게 3.7억홍콩 달러에 판매했다. 2004년, 사스 이후 배우 저우싱츠는 스카이하이를 구입하고 토지를 4채의 주택으로 재건축했다.[6] 제네시스는 2001년에 채권자에 의해 웡 콴이 지불한 금액의 50% 미만인 2.4억홍콩 달러에 판매되었다.[7][8]
과거 수십 년 동안 영사관, 정부 건물 등 역사적 가치를 지닌 빅토리아 피크의 대저택들은 철거되어 관리 단지 내의 더 작은 주택으로 재개발되었다. 2006년, 선 헝 카이 부동산(Sun Hung Kai Properties)은 12 켈렛 산(Mount Kellett) 도로의 부지를 정부 경매를 통해 18억홍콩 달러에 매입했다. 해당 부지에는 중급 공무원 주택용 아파트 단지가 있었다.[10] 2022년, HNA 그룹(HNA) 회장 천펑 (사업가)(Chen Feng)의 채권단은 켈렛 산 12번지 'Twelve Peaks' 단지의 주택을 3.9억홍콩 달러에 매각했다. 천펑은 2016년에 5.06억홍콩 달러을 지불했다.[11]
바커 로드(Barker Road)는 안개가 낀 계절에는 항구 전망이 영향을 받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어 가장 선호되는 거리 중 하나이다. 2010년, 헨더슨 랜드 개발(Henderson Land Development)의 회장인 리 샤우키(Lee Shau Kee)는 바커 로드 35번지의 부지를 18.2억홍콩 달러에 매입하여 가족의 거주지로 세 채의 주택으로 재건축했다. 2015년, 알리바바 그룹(Alibaba)의 창립자 마윈(Jack Ma)은 바커 로드의 주택을 15억홍콩 달러에 매입했다.[18]
2020년, 개발업체 더 워프 (홀딩스)(The Wharf (Holdings))는 빅토리아 피크의 맨스필드 로드의 부지를 정부 경매를 통해 120억홍콩 달러에 매입했다. 이 부지는 과거 공무원 숙소로 사용되었던 홍콩 정부(Government of Hong Kong)가 소유한 마지막 부지 중 하나이다.[19]
2024년 7월, 플랜테이션 로드 46번지의 소유주는 부지와 함께 네 채의 주택을 110억홍콩 달러에 매각했다.[20]
7. 교육
빅토리아 피크는 초등학교 입학(Primary One Admission, POA) 학군 11에 속해 있다. 이 학군에는 여러 개의 보조 학교(독립적으로 운영되지만 정부 자금 지원)와 본함 로드 정부 초등학교 및 李陞小學|리싱 초등학교중국어 등의 정부 학교가 있다.[26]
독일-스위스 국제 학교는 빅토리아 피크에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27]
8. 갤러리
참조
[1]
문서
Hong Kong Police Museum
[2]
웹사이트
The Peak History
http://www.thepeak.c[...]
The Peak
2007-03-14
[3]
웹사이트
Peak Tram History
http://www.thepeak.c[...]
The Peak Hong Kong
2007-03-13
[4]
웹사이트
Why Were Chinese People Banned from The Peak?
https://www.thelooph[...]
2022-03-18
[5]
웹사이트
HSBC's Peak asset for sale
https://www.scmp.com[...]
2022-03-18
[6]
웹사이트
blown it all skyhigh
https://www.scmp.com[...]
2022-03-18
[7]
뉴스
Hong Kong's Genesis Mansion Is Bought for $29.5 Million
https://www.wsj.com/[...]
2022-03-18
[8]
웹사이트
CNN.com – Bank seizes 'world's most expensive' house – July 25, 2001
https://edition.cnn.[...]
CNN
2022-03-18
[9]
뉴스
Hong Kong's Genesis Mansion Is Bought for $29.5 Million
https://www.wsj.com/[...]
2022-05-06
[10]
웹사이트
HK$1.8b Peak site world's most expensive
https://www.scmp.com[...]
2022-03-18
[11]
웹사이트
HNA Creditors Sell Seized Luxury Home on Hong Kong's Peak
https://www.mingtian[...]
2022-03-18
[12]
웹사이트
潘蘇通深水灣道75號大宅傳36億獲洽 高銀金融:不作評論
https://www.hk01.com[...]
2022-03-18
[13]
웹사이트
Jardine's Lookout remains magnet for wealthy mainlanders
https://www.scmp.com[...]
2022-03-18
[14]
웹사이트
Luxury site sees huge price drop
https://www.thestand[...]
2022-03-18
[15]
웹사이트
香港哪一區最豪?
https://www.am730.co[...]
2016-02-04
[16]
웹사이트
The Mount Austin|Peak|Estate Info|Centaline Property
https://hk.centanet.[...]
2022-09-04
[17]
웹사이트
HSBC's Peak asset for sale
https://www.scmp.com[...]
2024-07-13
[18]
웹사이트
Has Alibaba's Jack Ma bought HK$1.5 billion home on Hong Kong's Peak?
https://www.scmp.com[...]
2022-03-18
[19]
웹사이트
Wharf Wins Mansfield Road Site on Hong Kong's Peak
https://www.mingtian[...]
2022-03-18
[20]
웹사이트
信報地產投資 -- 種植道46號11億沽 撤辣後最大額一手成交
https://www2.hkej.co[...]
2024-07-13
[21]
웹사이트
We love Butterflies
https://www.greenpow[...]
2021-12-12
[22]
웹사이트
Photo of the Week #8: Porcupine on The Peak
http://www.strippedp[...]
2013-12-01
[23]
뉴스
9 Hong Kong tourist traps – for better or worse
http://www.cnngo.com[...]
CNN Go
2010-10-27
[24]
간행물
Hong Kong: 10 Things to Do – 1. Victoria Peak – TIME
https://content.time[...]
Time (magazine)
2016-11-04
[25]
웹사이트
Nature Walks
https://www.thepeak.[...]
2018-01-19
[26]
웹사이트
POA School Net 11
https://www.edb.gov.[...]
Education Bureau
2022-09-12
[27]
웹사이트
Contact Us
https://www.gsis.edu[...]
German Swiss International School
2022-09-12
[28]
웹사이트
Monthly Data for Single Element
https://www.hko.gov.[...]
Hong Kong Observatory
2024-04-05
[29]
웹사이트
Monthly Means of Meteorological Statistics for The Peak, 2004-2017
http://www.weather.g[...]
Hong Kong Observatory
2018-05-29
[30]
서적
圖說香江歲月
一點文化
[31]
서적
香港中西區風物志
中西區臨時區議會
[32]
웹사이트
The Peak History
http://www.thepeak.c[...]
The Peak
2007-03-14
[33]
웹사이트
Peak Tram History
http://www.thepeak.c[...]
The Peak Hong Kong
2007-03-13
[34]
url
http://www.thepeak.c[...]
[35]
웹인용
피크: 홍콩의 정상에서 가볼 만한 곳들 {{!}} Hong Kong Tourism Board
https://www.discover[...]
2023-04-25
[36]
웹인용
Monthly Data for Single Element
https://www.hko.gov.[...]
Hong Kong Observatory
2024-04-05
[37]
웹인용
Monthly Means of Meteorological Statistics for The Peak, 2004-2017
http://www.weather.g[...]
Hong Kong Observatory
2018-05-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